그림을 클릭하면 확대되요
황묘농접
주문 사양을 선택 하세요.
* 선택 가능한 미디어만 표시되며, 파인아트는 코팅/압착 시 소량의 먼지가 유입될 수 있습니다.
재고 보유 상품
영업일 5일 이내 제작 기간이 소요 됩니다.
└ [표면처리 옵션] - 선택시 추가 작업을 위해 출고 기간이 증가 될 수 있습니다.
* 언크롭 사이즈 예시입니다. 개별 주문사이즈는 고객센터(1833-5498)로 문의하세요.
* 위·아래로 스크롤 하세요. 미디어에 따라 선택 가능한 프레임이 다를 수 있습니다.
* 프레임/사이즈에 따라 선택 불가 할 수 있습니다.
* 사이즈 및 프레임에 따라 선택 가능한 경우만 표시됩니다.
* 여백을 늘리면 그림크기가 작아집니다.
세부정보
표면처리
-
매트/여백
-
액자크기
-
프레임넓이
-
전면커버
-
배송 및 혜택
출고기한
영업일 5일 이내 출고 (휴무일 제외)
배송비
기본 4,000원 / 5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
구매혜택
적립 5 %
0
구매시 주의 하세요
· 그림액자 상품은 고객의 주문에 따라 제작되는 맞춤제작 상품으로 제작이 시작된 이후에는 변심에 의한 취소, 교환/환불이 불가한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액자 크기 및 지역에 따라 일반적인 택배가 아닌 전용 화물 등으로 과도하게 높은 배송비용이 발생하는 경우 결제금액 외 별도의 추가요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네이버페이 구매시 쇼핑몰 적립포인트는 중복 지급되지 않습니다.
· 네이버페이 주문취소 신청 시 제작이 시작된 경우 주문제작상품 특성상 취소 승인 및 반품 자동 수거지시가 불가능한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프레임리스, 아크릴띄움(화이트/우드/블랙) 프레임은 아크릴 압착 액자로 전면에 보호필름이 부착되어 있습니다. 수령후 그림면의 보호필름을 제거해주세요.
· 수제작 특성상 동일 사이즈라도 mm단위 차이가 있습니다. 정사이즈 제작이 필요한 경우 주문시 고객센터로 연락 또는 주문시 메세지를 남겨주세요.
아트앤샵 고객만족지수
97.0%
( 전체후기평점 4.81 )
(매우만족)
85.1%
(만족)
11.9%
(보통)
2.3%
(불만족)
0.6%
(매우불만)
0.1%
구매후기 1 건, 구매자 평점 5.0 / 5.0
fr******@daum.net 2024-07-24 10:47:35
그림과 프레임의 조합 예시로 프레임의 무늬가 그림 비율에 따라 변형돼 보일 수 있습니다. 상품기술서의 프레임 설명을 참고하세요.
황묘농접
김홍도 작가의 작품 "황묘농접"은 조선 시대의 뛰어난 화가로서 그의 예술적 감각과 자연에 대한 깊은 이해를 잘 보여줍니다. 이 작품은 고양이와 나비를 주제로 하여, 일상적인 소재를 통해 인간과 자연의 조화를 표현하고자 했습니다.
그림 중앙에는 호기심 가득한 눈으로 나비를 바라보는 고양이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 고양이의 부드러운 털과 유연한 몸짓은 김홍도의 섬세한 붓질을 통해 생동감 있게 표현되었습니다. 고양이의 시선 끝에는 날개를 펼친 나비가 있어, 두 존재 간의 긴장감과 조화로운 순간을 포착하고 있습니다. 이는 자연의 생명력과 그 속에서의 순간적 아름다움을 강조하고자 한 것으로 보입니다.
배경의 식물과 돌들은 자연스럽게 배치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김홍도의 뛰어난 감각을 엿볼 수 있습니다. 식물의 잎사귀와 꽃의 디테일은 매우 정교하며, 자연의 생동감을 더해 줍니다. 이러한 요소들은 전체적인 작품의 균형을 이루며, 고양이와 나비의 상호작용을 더욱 돋보이게 합니다.
김홍도는 이 작품을 통해 당시의 사회적 분위기와 자연에 대한 철학적 사고를 시각적으로 풀어냈습니다. 자연과 인간의 조화로운 공존을 강조하는 동시에, 그 속에서 순간의 아름다움을 포착하려는 그의 노력이 돋보입니다. "황묘농접"은 김홍도의 예술적 기교와 철학적 깊이를 동시에 느낄 수 있는 작품입니다.
작가노트
김홍도(金弘道, 1745년 ~ ?)는 조선 후기의 화가이다. 본관은 김해, 자는 사능(士能), 호는 단원(檀園)·단구(丹邱)·서호(西湖)·고면거사(高眠居士)·취화사(醉畵士)·첩취옹(輒醉翁)이다. 정조 시대 때 문예부흥기의 대표적인 화가로 여겨진다. 그는 산수화, 풍속화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화가였지만 고사인물화 및 신선도, 화조화, 불화 등 모든 분야에서 독창적인 회화를 구축한 화가이기도 하다. 주로 어명·고관의 명, 양반의 청탁 을 받아 그림을 그렸지만 일반 서민들의 일상생활을 그린 풍속화가로 우리에게 주목받고 있다.